
https://onlyfor-me-blog.tistory.com/386 1) 리눅스 커널 하드웨어와 OS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로, 하드웨어 추상화 메모리 관리 보안 설정 전원 관리 다른 하드웨어 장치의 드라이버 관리(카메라, 블루투스, 오디오 등)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 의 역할을 수행한다. 우분투등 다른 리눅스 배포판에 있는 유틸리티는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Binder, Ashmem(Android shared memory) 등이 추가로 포함되어 있다. 2) HAL 리눅스 커널과 하드웨어 기기간의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단말기 제조사가 드라이버를 구현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계층 =>하드웨어는 low level 언어를 사용하는데, 이를 감추고 표준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Java API Framework에서 하드..
파일시스템 사용량 확인 (df) df는 disk free의 약자로,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의 전체크기, 사용중인 크기, 사용가능한 크기, 사용율, 마운트 정보등을 보여준다. df면령어는 /etc/fstab파일에서 파일시스템 정보를 참조, /etc/mtab 에서 마운트된 정보를 참조한다. df ([옵션]) ([장치명]) -h : 용량 단위를 쉽게 확인하기 (human readable) -a : 모든 파일시스템을 대상으로 사용량 확인하기. 기본적으로 디스크 사용량을 파악할 때, 크기가 0인 파일 시스템에 대해서는 결과를 표시하지 않는다. -i : 아이노드 사용정보로 확인하기 디렉토리별 사용량 확인 (du) du명령어는 disk usage의 약자로, 파일 및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docker-compose up 명령어 수행 시 [docker-compose 실행 경로]_default로 network bridge가 생성된다. docker-compose.yml 파일 내에 정의된 컨테이너들은 해당 default network bridge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생성되는 bridge의 대역대를 변경하려면, docker-compose.yml 파일에 다음과 같이 대역대를 지정하면 된다. networks: default: ipam: driver: default config: - subnet: [원하는 대역대] ------------------ 기타메모 ----- docker-ce : docker daemon 관련 패키지 docker-ce-cli : client 관련 패키지 containerd...
호스트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IP를 할당받은 노드를 호스트라고 한다. 내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핸드폰 모드 호스트가 될 수 있으며, 서버도 호스트가 될 수 있다. 포트와 소켓이란?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포트는 주소, 소켓은 창구라고 할 수 있다. 프로세스당 주소는 1개이며 창구는 여러개일 수 있다. 우리집 주소는 하나지만, 쿠팡배송, 배민배송, 11번가배송 창구가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서버 프로세스에는 포트가 1개 할당되고, 소캣을 여러개 생성하여 다른 호스트로부터의 여러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포트란? 서버 내에는 여러 프로세스가 있다. 호스트에 요청이 들어왔을때 OS는 포트번호로 어떤 프로세스에 전달해야할지 알 수 있다. 호스트 내부에 여러 프로세스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OS를 ..
윈도우에서는 list disk 명령어를 통해 디스크 정보를 조회가능하다. GPT 파티션이 부팅속도, 최대 파티션 개수, 단일 파티션 용량 등 모든 면에서 MBR파티션보다 더 좋다. MBR 파티션이란? : 구식 방식으로 MBR 부팅이 필요하거나, 디지털 서명 되지 않거나, UEFI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선택한다. GPT 파티션이란? : 2.2테라 이상 하드디스크도 단독 파티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최대 128개까지 파티션을 나눌 수 있다.

IAM이란, AWS 리소스에 대한 접근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웹서비스이다. EC2,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aws의 모든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aws api를 사용하여 읽기,쓰기.변경.삭제(crud)를 수행하는데, 올바른 사용자 인지 확인 + api를 호출할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로 IAM 서비스이다. IAM 기본 개념 IAM은 AWS에서 인증과 권한부여를 담당하는 서비스이다. 보통 인증/인가라고부르기도 한다. "나는 홍길동이고, s3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하고싶어"라는 요구사항에 홍길동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저 사람이 실제 홍길동인지 확인하는 절차가 => 인증 홍길동이 s3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 인가 이다. 인증주체는 user (group) ..